본문 바로가기

함수

(3)
파이썬 클래스(class) 함수 심화 [파이썬 3.7] 파이썬의 클래스에는 함수도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클래스 안에 있는 함수를 보통 함수처럼 쓰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클래스 함수를 다루는 법을 알아야 한다. class Myclass(): a = 1 for i in range(10): a += 1 def number(self, n, m): return n + m 함수가 포함된 클래스의 예시이다. 여기에서 2, 3, 4번째 줄의 코드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정한 뒤 실행시키면 된다. x = Myclass() print(x.a) 실행 결과는 11이 나온다. 함수도 이와 같이 실행할 수 있다. 하지만 클래스 함수에는 일반 함수와 다른 점이 하나 있다. 바로 5번째 줄에 있는 self다. 이 self는 함수에 이용할 인스턴스를 정해준다. 이는 필요한..
[파이썬 3.7] 함수의 응용 함수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함수와 함께 쓰이는 변수들의 특징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함수와 함께 쓰이는 변수로는 전역 변수와 지역 변수가 있다. 전역 변수는 함수 코드 밖의 코드에서 정의된 변수이고, 지역 변수는 함수 코드 안에서 정의된 변수이다. a = 1 def func(): b = 1 print(a) print(b) 위의 코드에서 a는 전역 변수, b는 지역 변수이다. 여기에서 print(a)를 할 때 전역 변수 a를 코드 내에서 찾아와서 실행한다. print(b)는 지역 변수 b를 사용했으므로 함수 내에서만 활동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만약에 a를 함수 내에서 변화시키는 코드가 있다면 오류가 난다. a = 1 def func(): b = 1 a = a + 1 print(a) print(b..
파이썬의 함수와 모듈 [파이썬 3.7] def plus(x): x = x + 10 print(x) plus(10) 파이썬으로 코드를 작성할 때 여러번 반복되는 코드를 작성해야 될 때가 있다. 이럴 때 코드를 일일이 반복해서 쓰면 매우 힘들고 불편할 때가 많다. 이럴 때 쓰는 기능이 바로 함수와 모듈이다. 함수는 어떠한 기능을 하는 공식 같은 것을 따로 설정해놓는 것이다. 상자의 수학적 개념을 떠올리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파이썬에서 함수는 def를 써서 작성한다. 함수를 작성한 뒤 함수의 이름을 적어 실행시키면 그 함수가 실행된다. def plus(x): x = x + 10 print(x) plus(10) 위 코드의 실행 결과는 20이다. 모듈은 함수와 매우 비슷한 기능이지만 함수와는 다르게 함수들의 모음이나 파일 등을 불러온다. 모듈에는..